브랜딩은 소설보다는 시에 가깝다.
서사보다는 비유가 어울린다.
'내마음은 호수요 그대 노 저어오오'라는
딱 한 문장을 읽고 잔잔했던 가슴이
세차게 일렁이던 경험을 잊을 수가 없다.
저 그림같은 상황을 설명하자면 책 한권이
될 것만 같았다. 고작 딱 한 문장인데 말이다.
브랜딩도 비유적이고 함축적인 상징화된 언어를 통해 시처럼 쓰여져야 힘이 있다. 그래야 짧은 순간에 풍부한 이미지와 복합적인 메시지를 담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 진행했던 에너지 환경 정책 연구 및 컨설팅을 하는 스타트업과 미팅을 하면서 '에너지 환경 분야의 맥킨지같다'라는 생각을 했다. 미팅 자리에서 그 생각을 얘기했더니 웃으시면서 그 게 저희 꿈이죠.라는 답을 들었다. 굉장히 낯선 분야의 산업이고 특이한 회사였지만 맥킨지같다라고 비유하자 브랜딩할 회사의 이미지가 훨씬 명확해졌다.
아로마를 기반으로한 스타트업 브랜드는 이렇게 비유해봤다. '향이라는 장치로 사람의 감각의 지평을 넓히는 일'.
단순히 아로마만 떠올리다보면 허브나 에센스 오일같은
일차원적인 이미지가 떠오르지만 '감각의 지평선'이라고
비유적인 표현을 쓰니 훨씬 더 연상 작용이 풍부해지고
이야기 꺼리도 많아졌다.
브랜딩을 시작하려고 하는데 너무 막연하고 실체가 안떠오른다면, 눈을 감고 잠시 시인이 돼보자. 시상을 떠올려보자. 비유가 담긴 한 문장으로 브랜드를 표현해보자. 그러면 그 이전보다는 훨씬 더 풍부한 연상 이미지와 브랜드의 선명한 미래를 그려 볼 수 있을 것이다. 자연스럽게 브랜드 스토리도 브랜드 네임도 그리고 브랜드 디자인까지도 훨씬 수월하게 풀려나갈 것이다.
'[BRIK] > 브랜딩 브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랜드 로고 아이디어 발상법 (0) | 2020.12.16 |
---|---|
배움을 주는 브랜드가 된다는 것 (0) | 2020.12.12 |
쿠팡이 쿠팡마켓이었다면 어땠을까? (0) | 2020.11.23 |
같은 상징 다른 분위기 (0) | 2020.11.16 |
브랜딩은 스미는 것 - 대신증권 (0) | 2020.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