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브랜드리뉴얼6

무선통신 브랜드의 리뉴얼 속 사정 LG U+의 변화를 보고 생각한 것들 - 길을 지나다가 LG마크를 전면에 배치한 LG U+간판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원래 육각 입체형의 U+로고마크와 Suare를 결합해서 쓰던 걸 리뉴얼한건데 이제야 알아봤네요. 브랜드 로고뿐만 아니라, 매장 외부의 파사드에도 꽤 급격한 변화가 있었는데도 잘 몰랐습니다. 제 인식 속에서는 그만큼 자연스러운 변화로 받아들여졌나봅니다. 살펴보니 2018년부터 서서히 LG 마크 중심으로 교체를 해오고 있는 상황이더군요. 2011년에 LG Telecom을 'U+Square'라는 브랜드로 바꾸면서 블랙 바탕과 핑크색 로고가 포인트가된 매장 익스테리어를 선보인 바 있습니다. 통신 기업들의 초창기에는 'U+Square'(유플러스 스퀘어)같은 브랜드를 통신 3사들이 앞다투어 취했던 전.. 2021. 6. 28.
래미안 RAEMIAN 브랜드 리뉴얼 관찰기 브랜드 리뉴얼을 진화로 보느냐, 혁신으로 보느냐. 지난 2021년 5월에 래미안 아파트 브랜드가 리뉴얼을 단행했습니다. 세로로 긴 막대형 바안에 있던 한자 '來, 美, 安'가 사라졌습니다. 편안함(安)과 아름다움(美)의 가치를 담은 미래지향적(來) 아파트라는 최초의 네이밍이 가진 의미을 넘어, 이제는 'RAEMIAN' 그 자체로 하나의 독자적인 의미와 이미지를 가진 브랜드가 됐다고 생각합니다. 아마도 20년 전에 3개의 세로막대가 세워진 심벌이 만들어졌다면 받아들여지기가 쉽지 않았을 겁니다. 이제는 어느덧 20년차의 파워 브랜드로 성장했고 익숙한 브랜드가 되면서 과감한 생략을 통한 단순미 넘치게 브랜드 리뉴얼을 할 수 있었겠죠. 2000년 삼성 '三星'이 더 이상 한자어의 뜻으로 해석되지 않고 'SAMS.. 2021. 6. 11.
폴바셋 브랜드 리뉴얼을 보고 느낀 점 브랜드 로고타입이 매체와 적용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변화하는 건 맞는걸까?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준 중 하나라고 하는 일관성과 통일성이라고 측면에서 봤을 때, 상황에 따라 예외를 두고 로고타입이 변화하는 건 괜찮은 걸까? 이러한 질문에 명확하게 답하고 기준을 제시해야하는 브랜드 관리자들과 디자이너 입장에서는 항상 고민되는 문제다. 브랜드의 일관성과 유연함 사이에서의 고민들이 최근 폴바셋의 브랜드 리뉴얼을 통해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됐다. 폴바셋 브랜드 리뉴얼의 이유 몇 달 전 코엑스 삼성역 지하에서 폴바셋 간판을 보고 적잖이 당황스러웠다. 내가 알고 있던 폴바셋의 이미지가 전혀 아니었기때문이다. 빨간색 크라운 모양의 마크와 핸드라이팅한 로고타입이 조합된 개성 강한 브랜드 로.. 2021. 5. 17.
BTS의 빅히트는 왜 사명을 바꿨을까? CJ나 대상같은 식품회사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들여다보면 종류가 너무 많아 그 기세에 질릴 정도다. 그런데 모기업 산하의 개별 브랜드만 400백여개를 보유한 다국적 소비재 브랜드인 유니레버에 비하면, 그들 또한 단촐할 정도다. 유니레버의 브랜드 맵을 보다보면, 도대체 이 많은 브랜드를 어떻게 관리할까라는 생각도 들고, 이 기업의 브랜드 매니저들은 얼마나 머리가 복잡할까라는 생각도 든다. 반대로 생각하면 만일 이런 ‘브랜드'마저 없었다면 이렇게 다양한 ‘브랜드’와 ‘제품’을 구분조차 못했을 것이다. 그런데 이들과 맞먹을 정도는 아니라도 굉장히 복잡한 브랜드 구조를 가진 곳이 있으니 바로 ‘연예 기획사들’이다. 인수합병 등을 통해 기획사 산하에 수십개의 새끼 기획사(레이블)을 두고 있고, 최근에는 2차 저작물.. 2021. 3. 25.
기업이 성장할수록 단순해지는 상징 삼성(三星) 마크에는 왜 별이 없을까요? 파리바게트는 왜 에펠탑이 안보일까요? 기업 상징물의 변화를 보면 기업의 성장이 보입니다. 기업이 현재와 미래의 모습이 그려집니다. 고객에게 새롭게 전하고자 하는 자신들의 메시지 또한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기업의 상징물이 리뉴얼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이유가 있습니다. 그중 가장 많은 사례는 사업규모의 변화입니다. 기업마다 각 체급에 맞게 사람들이 기대하는 모습에 맞게 기업의 모습도 변해야 하죠 이미 대형 마트 규모가 됐는데 아직도 동네 슈퍼의 모습을 하고 있는 기업은 고객들이 혼란스러워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사람도 마찬가지듯 회사도 자신의 자리와 위치에 맞는 모습으로 변해야 합니다. 물론 그 변화의 정도는 기업마다 천차만별입니다. 어떤 기업은 얼굴 전체를 성형한.. 2020. 12. 19.
[LIVART] 리바트 브랜드 디자인 리뉴얼 분석 올해 4월 서울 용산 '아이파크몰'에 1692㎡ 규모로 오픈하면서, 새롭게 리뉴얼한 브랜드 로고가 처음으로 등장합니다. '공간으로 경험하다'는 슬로건을 결합해 리바트가 지향하는 가치를 더욱 선명히 전달하고자 하는 의지가 엿보입니다. 위의 이미지가 새롭게 바뀐 로고 디자인이고, 아래 이미지가 리뉴얼 이전의 모습인데요. 리뉴얼 전의 로고는 개인적으로 국내 브랜드 디자인 로고들 중에서도 참 잘 만들어졌다고 생각하는 디자인입니다. 볼 때마다 새롭고 세련된 느낌을 줍니다. 그 이유를 좀 더 자세히 설명드려 보겠습니다. 가로, 세로획의 굵기 대비가 있는 글자는 속공간의 화이트 스페이스가 넓어져서 좀 더 가볍고 경쾌해집니다. 보통 이러한 굵기 대비는 명조계열의 특징이죠. 리바트의 리뉴얼 전 로고는 명조의 특징인 삐침.. 2020. 8.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