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69

성공하는 리브랜딩을 위한 조건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4. 25.
브랜드 컨셉은 ‘정의’가 아니라 ‘규정’이다 브랜드를 만든다는 것은 결국 “우리는 누구인가”를 세상에 말하는 일입니다. 그 중심에는 언제나 ‘브랜드 컨셉’이 존재합니다. 많은 브랜드들이 컨셉을 “우리 브랜드는 이런 브랜드입니다”라는 식으로 설명하려 합니다. 성격, 분위기, 대상, 특징 등을 요약한 문장으로 브랜드를 정의하려는 것이지요. 하지만 저는 이렇게 말합니다. 브랜드 컨셉은 ‘정의’가 아니라 ‘규정’입니다. ‘정의’는 브랜드를 외부에 설명하기 위한 언어입니다. 반면 ‘규정’은 브랜드가 스스로 결정한 방향과 태도를 선언하는 일입니다. 브랜드 컨셉이 단지 어떤 브랜드인지를 ‘설명’하는 수준에 머문다면, 그것은 브랜드의 정체성이 아니라 자기소개일 뿐입니다. 브랜드는 자기소개를 넘어서, 자신의 존재 가치를 ‘규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우리는 누구를.. 2025. 4. 19.
아이디어는 아이덴티티라는 기반 위에서, 스토리는 콘셉트라는 틀 안에서 자란다. 아이디어는 아이덴티티라는 기반 위에서, 스토리는 콘셉트라는 틀 안에서 자란다. 그러므로 아이디어와 스토리를 먼저 생각하기 보다는 아이덴티티와 콘셉트를 제대로 구축하는 게 먼저다.정체성과 개념을 잡지 않고 아이디어와 스토리로 만들어진 브랜드의 생명력은 오래 가지 못하기 때문이다.여러분 브랜드의 아이덴티티와 콘셉트는 무엇인가요?#브랜드정체성 #브랜드컨셉 2025. 3. 22.
[BRIK] 3NOUGH 브랜드 컨셉 구축 과정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2. 25.
브랜드라는 행성 중심의 ‘축’ 브랜드도 하나의 행성처럼 중심축이 있어야 합니다. 브랜드가 외부 상황에 맞게 회전을하고 이동하더라도 중심축이 흔들리거나 사라지는 일은 없어야 하죠. 그 축이 소위 말하는 브랜드의 본질, 컨셉, 정신, 이념 같은 것일 겁니다. 브랜드 내부에 그런 핵심 축이 제대로 지지하고 있어야 브랜드가 끊임없이 변화하고 나아가더라도 넘어지지 않고 목표를 향해 나아갈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축이 기업과 개인 브랜드에도 존재할 이유와 살아갈 가치를 만듭니다. 나이키라면 일상과 스포츠 ‘승리’의 축을, 애플이라면 디지털 문명의 ‘혁신’의 축을, 스타벅스라면 제3의 공간 속 ‘문화’라는 축을 확고히 가지고 있습니다. 개인에 있어서는 아인슈타인이 ‘호기심’의 축을 간디가 ‘평화’ 축을 피카소가 ‘창작’의 축을 가지고 인생 전체.. 2025. 1. 23.
[BRIK]'놀이 미술' 1등 브랜드 <미술로생각하기>의 컨셉 리빌딩 과정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1. 23.
로제 X 부르노마스 - APT.에서 찾은 대비의 매력 엘비스프레슬리와 마이클잭슨에 큰 영향을 받았다는 이 시대 최고의 뮤지션 브루노마스 / 대한민국 거대 엔터테인먼트 기획사에서 성장한 아이돌 스타의 대비가 묘한 조화를 이룹니다.절정의 후렴구인 Donttyou want me-로 시작하는 발라드풍의 서정적인 멜로디 라인은 / 전반적인 분위기를 이끄는 펑키한 사운드와의 대비로 더욱 매력적으로 들립니다.  '블랙/핑크' 멤버로서의 아이덴티티를 담은 듯한 앨범자켓의 색상 조합은 꿈꾸는 듯 화사한 핑크빛의 감정과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깊고 애절한 심정의 마음을 대비하는 듯 합니다. 2024. 10. 26.
스위스 여행에서 바다를 떠올린 이유 여행이 의미 있는 이유 중 하나가 나와 내 주변을 한 발짝 떨어져 볼 수 있다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반복되는 일상에 젖어 살다 보면 그 게 나쁜 건지 좋은 건지, 특별한 건지 별게 아닌 건지 알 수 없죠. 여행을 하면서 평소 보지 못한 낯선 사물과 사람을 접하게 되면 시선이 각도가 조금씩 변하는 느낌이 듭니다. 내 주변에 항상 가까이 있던 것들만 같은 각도에서 보던 시선이 달라집니다. 멀찍이서 바라보니 평소에 보지 못하고 생각하지 못한 것들이 다시 보입니다.저에겐 이번에 일주일 동안 다녀온 스위스 여행이 그랬습니다. 대자연 만들어낸 거대한 절경을 보면서는 우리 인간이라는 게 나라는 사람이 그 절경이 들어오는 장면 속 먼지 크기 밖에는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마주했습니다. 그렇게나 작은 존재가 뭐 그리 대.. 2024. 10. 18.
브랜드 자료 조사 전 생각할 것들 하나의 브랜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자료들이 필요하다. 뉴스나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발행한 칼럼, 더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논문도 찾아보고, 직접 서점에 가서 관련 책들에 나오는 정보들을 얻기도 한다. 요즘에는 유튜브나 SNS에 올라와 있는 정보까지 있으니 찾으려고 마음만 먹으면 폴더 하나가 수백 개가 넘을 정도의 문서를 찾을 수도 있다. 그뿐인가 이제는 챗지피티나 클로드 같은 AI를 활용해 검색 없이도 일정한 수준 이상의 고급 정보들을 찾을 수가 있다. 브랜드에 관련된 정보가 뉴스나 브랜드 관련된 분들의 인터뷰가 전부였던 시절을 생각하면 흘러넘칠 정도의 정보량이다. 하지만 이렇게 정보의 양이 늘어났다고 우리가 브랜드를 더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게 됐을까? 브랜드를 바라보는 눈이 더 넓어졌을까? .. 2024. 9. 29.